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자연愛서 즐기는 행복 힐링 - 톡톡화순!

화순 관광

사찰/명산

만연산
만연산 골짜기에 만연사가 있다. 이 절집은 고려시대인 1208년 만연선사에 의하여 창건되었다고 전하는데 만연선사가 무등산 원효사에서 수도를 마치고 조계산 송광사로 돌아가는 도중에 무등의 주봉을 넘어 남으로 내려오다가 만연사 중턱에 이르러 피곤한 몸을 잠시 쉬어가고자 앉은 사이 언뜻 잠이 들어 꿈을 꾸었는데 16나한이 석가모니불을 모실 역사를 하고 있는 꿈이었다.
  • 소재지
    화순읍 동구리, 수만리, 유천리 일대
상세정보
설명
  • 높이 해발 668m
  • 별칭 나한산
  • 주변산세 화순읍 쪽에서 바라보면 날카로운 바위무리가 솟아 있고 곳곳에 너덜이 있어 험하게 보인다.

만연산 골짜기에 만연사가 있다. 이 절집은 고려시대인 1208년 만연선사에 의하여 창건되었다고 전하는데 만연선사가 무등산 원효사에서 수도를 마치고 조계산 송광사로 돌아가는 도중에 무등의 주봉을 넘어 남으로 내려오다가 만연사 중턱에 이르러 피곤한 몸을 잠시 쉬어가고자 앉은 사이 언뜻 잠이 들어 꿈을 꾸었는데 16나한이 석가모니불을 모실 역사를 하고 있는 꿈이었다. 잠을 깨 사방을 둘러보니 어느새 눈이 내려 주위가 온통 백색인데 신기하게도 선사가 누운자리 주변만 녹아 김이 모락모락 올라오고 있었다. 그 길로 이곳에 토굴을 짓고 수도를 하다가 만연사를 세웠다는 것이다. 예전에는 대웅전, 시왕전, 나한전, 승당, 선당, 동상실, 서상실, 동병실, 서별실, 수정료, 송월료 등 3전 8방과 대웅전 앞의 큰 설루, 설루 아래 사천왕문과 삼청각이 있던 대찰이었다. 또, 부속암자로는 학당암, 침계암, 동림암, 연혈암이 있었는데 오랜세월로 퇴락 철거되었다가 1978년 이후 대웅전, 나한전, 명부전, 한산전, 요사채가 복원되었고 암자로는 선정암과 성주암이 있다. 경내에는 1783년에 제작된 도지정 문화재 제185호 괘불이 있다. 한때 다산 정약용 선생이 젊은시절 부친이 화순현감으로 부임하던 때에 만연사 동림암에 거처한 적이 있으며 국창 임방울 선생이 소리를 가다듬기 위해 이곳을 찾아 피나는 연습을 하였던 곳이기도 하다.

주변관광지
무등산, 안양산휴양림, 만연사, 만연폭포, 수만리 목장, 환산정, 규봉암, 입석대, 서석대, 화순향교
등산코스
목장입구 - 능선 - 제1봉 - (40분) - 중계소 - 제2봉 - (20분) - 정상 - 중계소 -(40분) - 목장입구 = 총 1시간 30분 소요
하산코스
  • 정상 - 고갯길 - 만연사 = 총 1시간 40분 소요
  • 정상 - (제3봉) - (1시간 30분) - 수만리 - (20분) - 흑염소목장 - (2시간) - 무등산 중머릿재 - (40분) - 증심사 = 총 4시간 30분 소요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담당자 박창한
  • 담당전화번호 061-379-3225
  • 최근 업데이트 2022-11-14
  • 조회 1,529
상단으로 하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