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57년(통일신라 경덕왕 16) 에 이릉부리현(爾陵夫里縣)을 릉성군(陵城郡) 으로 고칠 때 릉성군의 일부였다.
940년(태조 23) 에 릉성군을 능성현(綾城縣) 으로 고칠 때 그 일부였다.
1018년(현종 9) 에 화순현과 능성현이 나주목(羅州牧) 의 관할을 받을 때 나주목 능성현의 일부로 있었 다가 곧 나주목으로부터 분리되었고 이어 화순현을 합한 능성현의 일부로 있었다.
1143년(인종 21) 능성현에 처음으로 중앙에서 파견한 현령이 부임해 오면서 능성현령의 관할을 받았다.
1416년(태종 16) 화순현과 능성현을 합하여 순성현(順城縣) 이라 칭할때 순성현의 일부가 되어 순성현령 의 관할하에 있었다.
1418년(태종 18) 에 순성현이 다시 화순현, 능성현으로 각각 나누어지면서 능성현의 지역으로 있었다.
1632년(인조 10) 능성현이 능주목(綾州牧) 으로 승격되자 능주목의 일부가 되었다.
1660년(현종 1, 경자) 능주목 서이면(西二面) 으로 있었다. (도암면지, 1923년 간행)
1696년(숙종 22, 병자) 능주목 안의면(安義面) 으로 있었다. (도암면지, 1923년 간행)
1756년(영조 32, 병자) 능주목 서이상면(西二上面), 서이하면(西二下面) 으로 있었다.
(도암면지, 1923 간행)
1759년(영조 35) 여지도서(輿地圖書) 에 의하면 능주목 10개면 중 이상면(二上面)과 이하면(二下面) 으로 기록되어 있다.
1765년(영조 41, 을유) 능주목 천태면(天台面) 으로 있었다. (도암면지, 1923년 간행)
1789년(정조 13) 호구총수(戶口總數) 에 의하면 능주목 10개면중 서이상면(西二上面) 과 서이하면 (西二下面) 지역으로 되어 있었다. (도암면지(1923년 간행)에는 도장면, 호암면으로 기록되어 있다) 서이상면의 관할리는 다음의 16개리이다. 新井里, 梨谷, 天台里, 東地莊, 西地莊里, 倉底里, 新村, 桶井里, 東豆山里, 呼音時洞, 淨泉里, 碧池洞, 竹店里, 竹洞里, 道莊洞, 九老村.
서이하면의 관할리는 다음의 12개리이다.
1910년 10월 1일 칙령 제354호, 357호(9.30일 공포) 에 의하여 道, 府, 郡, 面( 面, 社, 坊통합) 을 정비 하면서 면사무소를 두기 시작했는데 도장면사무소는 벽동리 756번지에 두고, 호암면사무소는 덕산리 635번지에 각각 면사무소를 설치하였다.
1913년 능주군명을 화순군(和順郡) 으로 개칭하면서 화순군 17면 중 도장면, 호암면으로 되었다.
1914년 3.1 행정구역개편에 의해서 도장면, 호암면과 남평군 다소면의 일부를 합하여 도장면의 도(道) 자와 호암면의 암(巖) 자를 따서 화순군 도암면(道巖面) 으로 칭하면서 면사무소를 지월리 월전마을 408-1, 408-2번지(212평, 지가 31원80전) 에 두고 다음의 15개리를 관할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