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혁 및 일반현황

연혁

  • 청동기 시대의 유적인 고인돌이 면내에 25기 분포하고 있다.
    마한시대에는 능주방면과 함께 여래비리국(如來卑離國)의 일부이었다.
    백제때에는 잉리아현(仍利阿縣)의 일부이었다.
  • 757년(통일신라 경덕왕 16) 에 잉리아현(仍利阿縣)을 여미현(汝湄縣=汝濱=海濱)으로 개칭하여 부리현(富里縣=보성 복내 일대)과 함께 능성군(陵城郡)의 일부가 되었다.
  • 940년(고려 태조23) : 여미현(汝湄縣) 을 화순현(和順縣) 으로 고치면서 화순현의 관할이 되었다.
    (汝湄이후 烏城 山陽 瑞陽 和順이라 명칭이 변하였다)
  • 1018년(현종 9) : 화순현과 능성현(綾城縣) 나주목(羅州牧) 에 소속되면서 그 관할하에 있었다.
    연대미상 : 나주목에서 능성현과 화순현이 분리되었는데 화순현은 다시 능성현의 관할로 되면서 능성현의 관할을 받았다.
  • 1390년(공양왕 2) : 화순현이 능성현에서 분리되었는데 감무(監務)를 두고 남평현(南平縣)을 관할하였는데 이때 화순현 감무의 관할하에 있었다.
  • 1394년(태조 3) : 화순현이 관할하던 남평현이 분리되면서 따로 감무를 두었는데 이때도 화순현의 관할하에 있었다.
  • 1396년(태조 5) : 화순현을 동복감무가 관할하면서 동복현의 관할이 되었다.
  • 1405년(태종 5) : 동복현의 감무를 화순으로 옮기면서 화순현의 관할이 되었다.
  • 1407년(태종 7) : 화순현과 동복현을 합하여 복순현(福順縣)이라 부를 때 복순현의 일부로 있었다.
  • 1413년(태종 13) : 복순현을 화순현으로 개칭할 때 화순현의 일부로 있었다.
  • 1416년(태종 16) : 화순현을 다시 화순현과 동복현으로 분리하고 동복현에 현감을 두고 화순현은 능성현에 합하여 순성현(順城縣)이 되면서 순성현의 관할이 되었다.
  • 1418년(태종 18) : 순성현을 다시 화순현과 능성현으로 분리하여 각각 현감을 두면서 화순현의 관할이 되었다.
  • 1435년(세종 17) : 화순현이 다시 능성현에 합하였다가 다시 화순현으로 복구되었으나 연대는 미상이다.
  • 1597년(선조 30) : 정유재란시 왜구의 침입으로 화순현의 유지 능력이 없어 민원에 의해 화순현을 폐하고 능성현에 합하면서 능성현의 관할이 되었다.
  • 1611년(광해군 3) : 화순현을 다시 능성현에서 분리하여 현감을 두었는데 이로써 다시 화순현의 관할이 되었다.
  • 1655년(효종 6) : 동복현 객사에 둔 연전패가 불에 타 동복현이 폐현되고 화순현에 합하여질 때도 화순현의 일부로 있었다.
  • 1664년(현종 5) : 화순현이 화순현과 동복현으로 분리하고 화순현의 관할로 있었다.
  • 1759년 발간된 여지도서(輿地圖書) 에 의하면 화순현 3개면 중 동면(東面)으로 기록되어 있다.
  • 1789년(정조 13) 호구총수(戶口總數)에 의하면 화순현 3개면 중 동면(東面)으로 되어 있다.
    • 동면 관할리는 다음의 34개리이다.
    • 新院里, 龍生里, 彦訪洞里, 吾道味里, 烏城洞里, 下瑞巖里, 上瑞巖里, 堀洞里, 水凉川里, 萬水洞里, 靑宮里
    • 馬山里, 加老浦里, 舞理洞里, 景賢里, 猫峙洞里, 福林村里, 沙器店里, 龜岩里, 桐林洞里,
    • 梧洞里, 十川洞里, 泉洞里, 鐵場里, 察訪洞里, 農所里, 雲積洞里, 雲山里, 自浦谷里, 臥石里,
    • 仇水洞里, 德進里, 大巖里, 天雲村里
  • 1864년(고종 1) 대동지지(大東地志)에 의하면 화순현 4개면 중 동면(東面)으로 되어 있다.
  • 1895년(고종 32) 9.5면, 결, 호수의 다소에 따라 각 군의 등급을 정하면서 나주부(羅州府) 화순군(同福郡, 4등군) 동일도면(東一道面), 동이도면(東二道面)으로 나뉘어 있었다.
  • 1896년(고종 33), 8.4 칙령 제36호 지방제도관제봉급경비개정의건으로 전국이 13도제 실시에 따라 23부제가 폐지되고 전라남도 관할 화순군(4등군) 동일도면(21리), 동이도면(15리)이 되었다.
    • 동일도면의 관할리 다음의 21개리이다.
    • 察訪洞, 舞狸洞, 新院洞, 龜巖里, 龍生里, 柏洞, 猫峙洞, 彦洞, 景賢里, 上瑞巖, 下瑞巖, 靑弓,
    • 烏城洞, 新基里, 吾道美, 福林村, 屈洞, 馬山里, 萬水洞, 水村, 加老浦
    • 동이도면의 관할리는 다음의 15개리이다.
    • 玉林, 梧谷, 農所, 自浦谷, 政洞, 梧林洞, 雲谷, 鐵場, 九水洞, 泉洞, 聖德里, 大巖, 雲山里, 十川洞, 壺洞
  • 1908년 10.15 : 화순군이 폐지되고 능주군에 통합되면서 능주군 17면 중원화순방(元和順坊) 동일도면, 동이도면으로 있었다.
  • 1910년 10월 1일 칙령 제354호, 357호(9.30일 공포)에 의하여 道, 府, 郡, 面(面, 社, 坊 통합)을 정비하면서 면사무소를 두기 시작했는데 동일도면은 서성리 249번지 환산정, 동이도면은 장동리 302번지에 각기 면사무소를 설치하였다.
  • 1913년 능주군명을 화순군으로 개칭하면서 화순군 동면이 되었다.
    • 동면 관할리는 다음의 36개리이다.
    • 察訪洞, 舞狸洞, 新院洞, 龜巖里, 龍生里, 玉林, 梧谷, 農所, 自浦谷, 柏洞, 政洞, 猫峙洞, 彦洞,
    • 景賢里, 上瑞巖, 下瑞巖, 靑弓, 烏城洞, 桐林洞, 新基里, 雲谷, 鐵場, 吾道美, 福林村, 九水洞,
    • 泉洞, 屈洞, 聖德里, 大巖, 雲山里, 馬山里, 萬水洞, 十川洞, 壺洞, 水村, 九老浦, 면사무소는 철장에 설치하였다.
  • 1914년 3.1 행정구역개편에 의해서 동복군이 폐지되고 화순군에 편입되면서 화순군 17면중 동면(16개리)이 되었다.
    • 동면 관할리는 다음의 16개리이다.
    • 靑弓里, 馬山里, 瑞城里, 舞浦里, 泉德里, 景峙里, 福巖里, 大浦里, 栢龍里, 彦道里, 壯東里,
    • 雲農里, 玉壺里, 栢桐里, 菊東里, 水萬里
  • 1929년 면사무소를 철장에서 찰동으로 이건하였다.
  • 1932년 11. 1행정구역개편에 의해 화순군 13면 중 동면으로 되었다.
  • 1950. 9. 6. 25로 면사무소 청사가 전소되었다.
  • 1950. 10 지서와 함께 철장에 있는 동각(우체국옛터)으로 면사무소를 이전하였다.
  • 1951년 장동리 철장(鐵場) 마을을 우평(牛坪) 으로 개칭하였고 청궁리 갈두(刀頭)마을을 어림(魚林)으로 개칭하였다.
  • 1954년 운농리 운농2리(농소, 신운)를 운농2리(농소)와 운농3리(신운)로 변경하였다.
  • 1958년 천운마을을 오동1리로 변경하였다. 동암마을을 천덕4리로 분리하였다.
  • 1962. 6. 15 면사무소를 광업소 건물인 공회당(현재 면회의실자리)으로 옮기고 동각은 장동우체국에 매각하였다.
  • 1963. 1. 1 행정구역개편에 의해 화순면이 읍으로 승격, 화순군 1읍 12면중 동면이 되었다.
  • 1973년 7. 1 동면 수만리 4개마을이 행정구역 변경(1973. 3. 12 대통령령 제6542호)으로 화순읍으로 편입되어 관할리가 15개리로 조정되었다.
    • 靑弓里, 馬山里, 瑞城里, 舞浦里, 泉德里, 景峙里, 福巖里, 大浦里, 栢龍里, 彦道里, 壯東里,
    • 雲農里, 玉壺里, 梧桐里, 菊東里
  • 1973. 12. 우평마을 현 위치(장동리 582)에 면사무소를 단층으로 신축하였다.
  • 1986. 3. 8 동면사무소를 대지 586평 건평 274평에 2층 콘크리트 슬라브로 증축하였다.
  • 2020년 1월 1일 법정 15리, 행정 34개리 자연마을 40개, 89개반을 관할한다.

일반현황

  • 면 적 : 67.7㎢(군전체면적 786.62㎢의 8.6%)
  • 세대수 및 인구수 : 1,986세대 3,472명(남1,775,여1,697)
  • 행정구역 : 15 법정리, 34 행정리, 89반
  • 공무원 17명
  • 기업체 : 농공단지 63개업체, 종업원수 698명

지역특성

  • 동면은 무연탄이 많이 생산되는 지역으로 과거 주민들의 대다수가 광업소를 다니며 생활하는 부촌이었음
  • 화순읍 다음으로 인구가 많고 면 단위에서는 유일하게 아파트가 있는 곳임(화순광업소 아파트)

주요특산물

  • 쌀, 보리, 화훼, 한봉, 축산, 고추, 콩, 배, 버섯, 무연탄

주요문화재

  • 충의사 : 1996년 건립 충의공 최경회장군 사당
  • 청동기 시대 유적인 고인돌 : 25기
  • 운곡영당, 언동사, 환산정, 오성산성
  • 선 돌 : 12기 돌도끼 : 2기 성황당터

주요관광지

  • 충의사, 구암폭포, 냉굴, 서성저수지, 오성산성
사용자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평균 4.9점 / 79명 참여]

의견등록

100자 이내로 입력하여 주십시오. 현재 0자 (최대 100자)

화순군청 통합예약서비스
※ 좌우로 스크롤하여 화순군청 통합예약 사이트를 확인해주세요.
  • 설렘화순 버스투어
    화순적벽을 관광할 수 있는 특별한 여행
    설렘화순 버스투어

    문의처 : 관광진흥과 관광기획팀 (061-379-3506)

  • 고인돌 오토캠핑장
    설렘가득한 화순 힐링캠핑여행
    고인돌 오토캠핑장

    문의처 : 문화예술과 세계유산팀 (061-379-3516)

  • 화순의 숲
    자연속의 멋진 추억
    화순의 숲

    문의처 : 산림산업과 산림자원팀 (061-379-3702)

  • 열린도서관
    독서로 미래를 설계하는
    열린도서관

    문의처 : 문화예술과 도서관팀 (061-379-3967)

  • 화순시네마
    스크린으로 만나는 세상
    화순시네마

    문의처 : 문화예술과 문화시설팀 (061-379-3186)

  • 군민종합문화센터
    군민의 문화생활과 건강증진을 위한
    군민종합문화센터

    문의처 : 시설관리사업소 스포츠문화팀 (061-379-3951)

  • 하니움문화센터
    문화체육창달에 앞장서는
    하니움문화센터

    문의처 : 시설관리사업소 체육시설팀 (061-379-3537)

  • 주민자치센터
    언제나 주민곁에 함께하는 주민의 광장
    주민자치센터

    문의처 : 화순읍 총무팀 (067-379-5156)

아래
화순군청 통합예약서비스
※ 좌우로 스크롤하여 화순군청 통합예약 사이트를 확인해주세요.
  • 설렘화순 버스투어
    화순적벽을 관광할 수 있는 특별한 여행
    설렘화순 버스투어

    문의처 : 관광진흥과 관광기획팀 (061-379-3506)

  • 고인돌 오토캠핑장
    설렘가득한 화순 힐링캠핑여행
    고인돌 오토캠핑장

    문의처 : 문화예술과 세계유산팀 (061-379-3516)

  • 화순의 숲
    자연속의 멋진 추억
    화순의 숲

    문의처 : 산림산업과 산림자원팀 (061-379-3702)

  • 열린도서관
    독서로 미래를 설계하는
    열린도서관

    문의처 : 문화예술과 도서관팀 (061-379-3967)

  • 화순시네마
    스크린으로 만나는 세상
    화순시네마

    문의처 : 문화예술과 문화시설팀 (061-379-3186)

  • 군민종합문화센터
    군민의 문화생활과 건강증진을 위한
    군민종합문화센터

    문의처 : 시설관리사업소 스포츠문화팀 (061-379-3951)

  • 하니움문화센터
    문화체육창달에 앞장서는
    하니움문화센터

    문의처 : 시설관리사업소 체육시설팀 (061-379-3537)

  • 주민자치센터
    언제나 주민곁에 함께하는 주민의 광장
    주민자치센터

    문의처 : 화순읍 총무팀 (067-379-5156)